Java/information (31) 썸네일형 리스트형 [자바/JAVA] 배열 참조타입 객체의 번지를 참조하는 타입으로 배열, 열거, 클래스, 인터페이스를 말한다. 기본타입은 실제 값을 변수 안에 저장하지만, 참조타입은 변수에 메모리의 번지를 변수 안에 저장한다. 번지를 통해 객체를 참조한다는 뜻에서 참조 타입이라고 부른다. 기본 타입 변수는 스택 영역에 직접 값을 가지고 있지만, 참조 타입 변수는 스택영역에 힙 영역의 객체 주소를 가진다. 자바에서는 배열을 객체로 취급한다. 배열이란 하나의 이름을 공유하는 변수 배열 Array 같은 타입의 데이터를 연속된 공간에 나열하고, 각 데이터에 index를 부여해놓은 자료구조이다.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한다. 각 인덱스는 데이터를 읽거나 저장하는데 사용되며 배열 이름 옆에 대괄호[]에 기입된다. 배열.length라고 하면, 배열의 길이를알려.. [자바/JAVA] 반복문 프로그램의 실행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문 반복문은 같은 코드를 여러번 반복하고자 할 때 사용 어떤 조건이 참인 동안 같은 블록을 계속 수행할 수 있도록 코드를 적어야한다. for문은 반복 횟수를 알고 있을때 주로 사용하고, while문은 조건에 따라 반복할 때 주로 사용한다. while문과 do-while문의 차이점은 조건을 먼저 검사하느냐 나중에 검사하느냐일 뿐 동작 방식은 동일하다. for (반복문 초기화 부분; 반복 조건; 변화) 조건식이 true가 될 때까지만 중괄호 내부를 반복한다. 반복할 때마다 증감식이 실행된다. 초기화식은 조건식과 증감식에서 사용할 루프 카운터 변수를 초기화한다. 주로 지정된 횟수만큼 반복할 때 사용한다. while문 while(조건식) 말하며 조건식이 true가 될 때까지만.. [자바/JAVA] 조건문 코드의 수행 흐름을 바꾸는 조건문과 반복문 1.불리언 논리 연산자 2.조건문 3.반복문 4.break와 continue 불리언 논리 연산자 -논리 연산자는 if 조건문과 while 또는 for 반복문과 같이 사용 -논리 연산자의 결과는 boolean 자료형에 저장 -수치 연산자, 관계 연산자, 논리 연산자까지 섞여 있는 경우에는 논리 연산자를 가장 나중에 계산 -논리 연산자는 참(true) 또는 거짓(false)의 결과를 내는 3가지 연산자 조건문은 조건이 참인 경우와 거짓인 경우에 따라서 코드의 흐름을 결정할 수 있는 문장 if, switch, 3항 연산자(?:)의 형태 if만 사용하는 경우 -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실행하고자 하는 코드가 있다면 if만을 사용 if~else만 사용하는 경우 -.. [자바/JAVA] 형변환과 시스템 입출력 작은값을 큰값 공간으로 형변환을 할때는 자동형변환이 되지만 큰값을 작은공간에 값으로 넣으려고할때는 강제형변환을 해주어야한다. int v2 - 1e2; 지수 e는 Exponenital의 약자이다. 공학에서 아주 큰 숫자 혹은 아주 작은 숫자를 간단하게 표현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10^2에서 2를 지수라 한다. 지수 표기법은 계수 뒤에 e(E)를 붙이고 위에 지수값을 넣으면 된다. 지수 표기법에서는 e=10을 의미한다. ex)0.000002를 지수로 표기하면 2e6(2*10^-6)가 된다. 1e2=1*10^2 ==> 100.0이라서 실수이다. b는 byte형으로 선언이 되었지만 -를 곱하는 연산에서 정수로 연산이 되기 때문에 byte형의 b를 담으려고 하면 에러가 난다. char 타입보다 허용 범위가 작은 .. [자바/JAVA] 상수와 여러 연산자들 상수란 변하지 않는 변수를 뜻한다. =항상 같은 수 -상수에 넣는 데이터로는 숫자만 오는것이 아니라 클래스나 구조체 같은 객체도 올 수 있다. -참조변수를 상수로 지정할 때, 참조변수 안의 속성의 데이터까지도 변하지 않는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참조변수 메모리의 주소값이 변하지 않는다는 의미일 뿐, 그 주소가 가리키는 데이터들은 변할 수 있다. 리터럴이란 데이터(값) 그 자체를 뜻한다. 즉, 변수에 넣는 변하지 않는 데이터를 의미하는 것 const a = 1; 여기서 a는 상수이고, 1은 리터럴이다. 상수는 메모리 위치(공간)이며, 메모리 값을 변경할 수 없다. 리터럴은 메모리 위치(공간) 안에 저장되는 값이다. 리터럴표기법이란, 변수를 선언함과 동시에 그 값을 지정해주는 표기법을 말한다. 상수를 만들기.. [자바/JAVA] 자바의 기본 자료형 컴파일 = 번역 번역을 2번한다. 자바를 컴파일하는 프로그램은 javac ctrl + f11 = 런타임 실행 f2 = rename ctrl + / = 한줄 주석 생성 클래스명이 파일명이 되어야 한다. 패키지 명은 반드시 소문자로 작성해야하며, 클래스 파일명은 반드시 대문자로 작성해야한다. 클래스 블럭은 필드 또는 메소드를 포함하는 블럭이다. (속성이라고도 하고 필드라고도 하고 프로퍼티라고도 하는 클래스를 만드는 객체의 속성을 선언하는 부분을 클래스의 필드라고 한다.) 어떤 일을 처리하는 실행문들 모아 놓은 블록을 말한다. 클래스 선언 : 자바 소스 파일은 클래스 선언부와 클래스 블록으로 구성된다. 이렇게 작성하는 것을 클래스 선언이라고 한다. main() 메소드 : java 명령어로 바이트 코드 파일을 .. [자바/JAVA] 자바란 자바는 1991년 썬마이크로시스템즈의 엔지니어였던 제임스 고슬링 (James Gosling)이 만들기 시작해 1995년에 버전 1.0 탄생했다. 현재 오라클(Oracle)이라는 회사가 소유 가장 최신 버전은 자바 13이지만, 2018년 9월 25일에 발표된 버전 11.0이 가장 안정적인 버전이다.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의 앱을 만드는 언어가 자바를 기반. (2017년에 구글에서 코틀린이라는 언어를 안드로이드 공식 언어로 지정 전에는 자바를 공부해야 했음) 자바의 기본 문법은 1972년에 나온 C언어와 1989년에 나온 C++언어를 많이 따름. 특히 객체 지향 언어인 C++를 많이 닮았다. C,C++보다 더 인기 있는 이유는 자바 언어가 추구하는 WORA 때문이다. 자바의 슬로건 WORA -WORA는 'Wri..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