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SS, Javascript, jQuery

(135)
반응형 웹 디자인 가상 선택자의 기본 속성은 inline 속성이므로 사이즈를 주려면 display 속성값을 변경한다. Css responsive 반응형 웹 디자인은 웹 페이지가 모든 장치에서 잘 보이도록 만든다. 반응형 웹 디자인은 HTML과 CSS만 사용한다. 반응형 웹 디자인은 프로그램이나 JavaScript가 아닌다. 모든 사용자를 위한 최고의 경험을 위한 디자인 웹 페이지는 데스크톱, 태블릿, 휴대폰 등 다양한 장치를 사용하여 볼 수 있다. 웹 페이지는 보기에 좋아야 하고 장치에 관계없이 사용하기 쉬워야 한다. 웹 페이지는 더 작은 장치에 맞게 정보를 생략해서는 안되며, 오히려 모든 장치에 맞게 내용을 조정해야 한다. CSS와 HTML을 사용하여 콘텐츠의 크기를 조정, 숨기기, 축소, 확대 또는 이동하여 모든 화면..
왜곡 rotate : 오브젝트를 왜곡할 때 부모요소에 perspective 속성을 활용하면 원근법에 의한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0이상이면서 수치가 작을수록 더 가까이 있기 때문에 왜곡의 정도가 더 심해 보인다. translate:구조를 만들 때 부모요소를 만들어 부모요소에 perspective를 설정하고 이동하고싶은 자식요소의 수치를 변경한다. perspective가 0이면 부모위치에 같이 위치하고 수치가 -음수이면 부모기준으로 뒤로 멀어지고 +양수이면 부모기준으로 앞으로 튀어나오는데 수치가 작을수록 왜곡의 정도가 더 심하다. transform:속성을 속기법으로 다양한 변형속성을 한꺼번에 지정하면서 perspective 속성까지 한번에 담을 수 있다.
가상 선택자
animationCSS의 활용&반응형 웹의 기본구조
miki web에서의 animation의 활용
perspective 3d transform
favicon
animation fill m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