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스턴스 멤버 : 인스턴스멤버란 객체(인스턴스)를 생성한후 사용할수 있는 필드와 메소드를 말하는데, 이들을 각각 인스턴스 필드, 인스턴스 메소드라고 부른다.
this : 객체 내부에서도 인스턴스 멤버에 접근하기 위해 this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his.model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model 필드라는 뜻이다. this는 주로 생성자와 메소드의 매개변수 이름이 필드와 동일한 경우, 인스턴스 멤버인 필드임을 명시하고자 할 때 사용된다.
정적 멤버 : 클래스에 고정된 멤버로서 객체를 생성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필드와 메소드를 말한다. 이들을 각각 정적 필드, 정적 메소드라고 부른다.
static : 정적 멤버를 선언할 때 사용하는 키워드이다.
싱글톤 : 전체 프로그램에서 단 하나의 객체만 만들도록 보장해야하는 경우가 있다. 단 하나만 생성된다고 해서 이 객체를 싱글톤이라고 한다.
final 필드 : 초기값이 저장되면 이것이 최종적인 값이 되어서 프로그램 실행 도중에 수정할 수 없는 필드를 말한다. final 필드는 final 키워드로 선언한다.
상수 : 수학에서 사용되는 원주율 파이나 지구의 무게 및 둘레 같은 불변의 값을 저장하는 필드를 자바에서는 상수라고 한다. 상수는 final static 키워드로 선언한다.
패키지 선언 : 해당 클래스 또는 인터페이스가 어떤 패키지에 속할 것인지를 선언하는 것을 패키지 선언이라고 한다. 소스 파일의 최상단에 위치한다.
import문 : 사용하고자 하는 클래스 또는 인터페이스가 다른 패키지에 소속되어 있다면, import문으로 해당 패키지의 클래스 또는 인터페이스를 가져와 사용할 것임을 컴파일러에게 알려줘야한다.
접근 제한자 : 클래스와 인터페이스를 다른 패키지에서 사용하지 못하도록 막을 필요가 있다. 그리고 객체 생성을 막기 위해 생성자를 호출하지 못하게 하거나 필드나 메소드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막아야되는 경우도 이때 이때 접근 제한자를 사용할 수 있다.
Getter/setter : 필드는 외부에서 접근할 수 없도록 막고 메소드는 공개해서 외부에서 메소드를 통해 필드에 접근하도록 유도한다. 필드의 값을 외부로 리턴해주는 메소드를 Getter라고 하고 외부에서 값을 받아 필드를 변경하는 메소드를 Setter라고 한다.
'Java > inform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JAVA] 다형성 (0) | 2023.04.28 |
---|---|
[자바/JAVA] 상속 (0) | 2023.04.26 |
[자바/JAVA] 생성자 (0) | 2023.04.20 |
[자바/JAVA] 객체와 인스턴스 (0) | 2023.04.18 |
[자바/JAVA] 정적 멤버와 메소드 오버로딩 (0) | 2023.04.14 |